데이터셋 구조 이해 & 문제정의
1. 들어가며
2. 과제 이해 및 데이터셋 분석 시작
3. 데이터셋 구조 이해 & 문제정의
4. 마치며
📝 서론
1. 들어가며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과제를 진행하며, 오전·저녁 두 번의 피드백을 통해 정량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고, 분석 접근 방식의 우선순위를 재정립했다. 📖
🔍 본론
2. 과제 이해 및 데이터셋 분석 시작
오전에는 지원 튜터님께 피드백을 받아, 정량 중심 분석에서 정성적 해석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관점을 확장했다.
📌 튜터님 피드백 요약
🟢 잘한 점
전환율, 체류 시간, 리뷰 클릭률 등 데이터 기반 분석은 잘 구성됨
페르소나 간 행동 차이를 수치로 명확히 드러낸 점이 좋았음
🔴 보완할 점
페르소나 설명이 지나치게 수치 중심
사용자의 의도·심리적 배경을 해석한 정성적 분석 부족
기획자의 시선에서 “왜 이런 행동을 했는가”를 스토리로 풀어내야 함
과제에서는 특정 페르소나를 먼저 선택한 뒤 분석을 진행하는 방식이 권장되지만, 나는 공지가 올라오기 전 이미 PostgreSQL을 통해 전체 데이터셋을 직접 분석하며, 모든 페르소나의 전환율, 체류시간, 행동 패턴 등을 비교했다.
튜터님께 해당 접근 방식에 대해 여쭤본 결과, “분석 순서를 달리하더라도 그 이유가 명확하면 모든 튜터님들이 납득하실 것”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그래서 데이터 기반으로 가장 효과적인 페르소나(B)를 선택하게 되었고, 이는 기획 의사결정 과정에서 충분히 합리적이라 판단했다.
3. 데이터셋 구조 이해 & 문제정의
퍼널 흐름을 Google Sheets로 시각화하는 도중, 조원분이 Canva로 예쁘게 만드는 방법을 공유해주셔서 큰 도움이 됐다 🙏
하지만 분석 흐름 자체에 대해 중요한 고민이 생겼다. "전체 퍼널을 먼저 정의하고, 가설을 그 안에 넣는 게 맞을까?" 이에 효정 튜터님께 찾아가 조언을 구했다.
📌 퍼널 분석은 이렇게 해야 한다
가설을 먼저 세우고 → 그 안에 필수 행동 단계를 정의
중간 영향 요인(리뷰 클릭, 할인 등)을 퍼널 내 단계로 배치
이렇게 해야 데이터 범위가 좁아지고, 분석이 명확해진다
🎯 결론
4. 마치며
오늘의 피드백을 통해 퍼널 분석은 가설에서 출발해 단계별 행동을 구조화하는 작업임을 명확히 깨달았다. 기획자의 시선으로 사용자의 흐름을 스토리로 풀어내는 연습을 이어가야겠다. 🚀
'PM > 서비스 기획 숙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29일차 - 서비스 기획 숙련 과제 - 문제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 설계 (0) | 2025.05.12 |
---|---|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28일차 - 서비스 기획 숙련 과제 - 데이터 분석 및 가설 도출 (0) | 2025.05.09 |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26일차 - 서비스 기획 숙련 과제 - 과제 이해 및 데이터셋 분석 시작 (1) | 2025.05.07 |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25일차 - 챕터5_네카라쿠배 현업 살펴보기 (2) | 2025.05.02 |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24일차 - 챕터4_기획자(PM)가 갖추어야 할 역량 (1)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