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M탐색

[내일배움캠프 TIL] 사전캠프 14일차 문제 정의와 PRD 작성해보기

alstj0506 2025. 3. 27. 16:41

문제 정의와 PRD 작성해보기
목차 
1. 들어가며
2. 문제 정의와 PRD 작성해보기 
3. 마치며

 

📌 참고: https://brunch.co.kr/@sjraintree/141

 

문제 정의 (문제해결 칼럼)

현 상태가 기대 상태와 다를 때 문제가 있다고 한다. 이때 현 상태와 기대 상태의 격차를 인지하는 것을 문제를 발견한다라고 말하며 격차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문제해결이라고 한다. 경영전

brunch.co.kr

📌 참고: https://brunch.co.kr/@windydog/580

 

IT에서의 '문제정의'란 말의 정의

문제점을 찾으란 말이 아니다. | PO/PM은 문제를 정의하는 역량이 중요하다? 문제를 잘 파악해서 정의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한 이야기를 굉장히 많이 한다. 그런데 이 문제를 정의하는 역량이라는

brunch.co.kr


1. 들어가며

 

📝 서론

문제 정의 (Why?)
PM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명확히 정의하는 거에요.
문제 정의가 명확해야 올바른 해결책이 나올 수 있어요.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앱 혹은 웹)를 기준으로 문제를 정의 해볼 거예요. 

[문제 정의를 잘하는 방법]
1. 사용자의 Pain Point를 깊이 고민하기
2. 기존 해결 방법을 분석하고, 어떤 점이 부족한지 파악하기
3. 해결해야 할 문제를 한 줄로 요약하기

2.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본론: 문제 정의와 PRD 작성해보기

 

🚀 팀원과 문제 정의하기

 

🎯 타겟 사용자 - 내일배움캠프 수강생

 

Pain Point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 

1️⃣ 사전캠프 중간 유입 적응이 어렵다.

2️⃣ 퀘스트 구글 폼 제출 확인 개선.

3️⃣ 부트캠프 신청 과정 중 과정명이 고용24와 스파르타 홈페이지의 이름을 일치시킬 수 없어서 추가로 확인이 필요하다.

4️⃣ 내일배움캠프 페이지 이용 시 새로운 탭이 과도하게 열려 원하는 창을 찾기 어려워지고, 사용자의 경험이 복잡해짐.

5️⃣ 노션 템플릿 복제 불가능.

 

 

🛠️  기존 해결 방법

엄예은) 사전캠프 중간 유입 적응 어려움-ot영상이 있지만 사전캠프를 진행하는데 있어서는 본인이 직접 찾아가면서 해야하기 때문에 적응하기 어려움
김민서) 퀘스트 구글 폼 제출 확인 개선 - 제출 여부를 운영진이 수동으로 체크하여 공지
고민국) 스파르타 쪽에서 안내된 링크를 통해서 지원함. 약간의 불안감을 갖고 신청하거나, 맞는 과정인지 커리큘럼 등을 재확인해서 신청합니다.
이승혜) 탭이 과도하게 열려 사용자 경험이 불편해짐. - 강의 수강하기 버튼 클릭 시 새로운 탭 대신 현재 페이지 내에서 강의 콘텐츠를 로드하여 사용자가 나의 캠프 창과 강의 페이지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함.
이형석) 노션 템플릿 복제 불가능 - 팀 활동을 위해 양식을 복제해야 하는 경우 수동으로 템플릿을 일일이 하나씩 복사를 하고 편집 작업을 거치거나, 템플릿 제공 링크를 새로 매니저님께 전달 받아야 함.

 

❗ 해결 필요성 (Why?)

엄예은) 사전캠프는 필수가 아닌 선택이나 처음부터 사전캠프를 참여하지 않고 중간에 들어온 유입자들은 스스로 알아가야하는데 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내의 필요성을 느낌.
김민서) 구글 폼으로 퀘스트를 제출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없어서 사용자 경험이 불편함, 운영진이 개별적으로 제출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구조
고민국) 수강신청이라는 최종 구매 과정에서 혼선을 줄여야 사용자 경험을 유익하게 할 수 있다.
이승혜) 노션, 자료, 블로그 등 여러 창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황에서 강의 수강 시 새로운 탭이 계속 생성되면 탭 관리가 복잡해지고 원하는 페이지를 찾기 어려워짐.
이형석) 팀 활동은 여러 개임에도 매 번 매니저님을 찾아가거나, 매니저님이 부재할 경우 직접 수동으로 템플릿을 복사할 시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자 경험을 해침으로 사용자의 흥미 / 집중도 저하로 교육 효과가 떨어짐.

 

✍️ 문제 정의 한 줄 요약

엄예은) 사전 캠프 중간유입자들의 빠른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하다.
김민서) 퀘스트 제출 확인 절차가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므로,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제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고민국) 수강신청 과정에서 과정명 불일치로 인한 혼선을 해소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승혜) 강의 수강 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탭 생성으로 인한 복잡한 탭 관리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방법을 모색해야 함.
이형석) 템플릿 복제 기능의 절차가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므로 템플릿 편집 권한을 제공하거나 양식을 쉽게 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함.

 

 

 

📌 PRD 작성하기 (해결 방향)

 


3. 마치며

 

🎯 결론

서비스 개선을 위한 핵심 목표
✅ 사용자 경험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학습 몰입도를 높인다.
✅ 운영진의 수동 업무를 줄여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 신규 참여자의 적응을 돕고 협업을 활성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