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서비스 기획 입문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18일차 - 서비스 기획 입문 과제 - 해결 방안 가설 설정

alstj0506 2025. 4. 23. 11:45

<출처: https://www.i-boss.co.kr/ab-6141-66549>

해결 방안 가설 설정
1. 들어가며
2. 해결 방안 가설 설정 
3. 마치며

📝 서론

1. 들어가며
예비 PM으로서 첫 입문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나는 네이버의 신입 Product Manager로 입사해,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 개선 업무를 맡게 되었다. 지난 3월 출시된 이 앱은 설치 쿠폰과 첫 구매 프로모션의 효과로, 출시 8일 만에 1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많은 신규 사용자를 유치했다. 이제는 그 다음 과제로 앱의 리텐션을 높이는 것, 즉 사용자가 서비스를 계속해서 이용하도록 만드는 일이 주어졌다.

 

📘 과제 안내

이번 과제는 제공된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겪고 있는 핵심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분석을 통해 서비스 개선 방향성을 도출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이 목표다.

 

 진행 계획

요일 과제 내용
4/21(월) 🔹 과제 이해 및 리뷰 데이터 탐색(완료)
🔹 리뷰 데이터 분류 및 문제 현상 발견(완료)
4/22 (화) 🔹 문제 원인 분석 및 정의(완료)
🔹 문제 우선순위 설정 및 핵심 문제 정의(완료)
4/23 (수) 🔹 해결 방안 가설 설정 및 문서화
4/24 (목) 🔹 문서 검토 및 보완 
이번 과제를 3일 내에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문제 원인 분석 과정에서 예상보다 시간이 소요되어, 목요일에 전체 문서를 검토·보완한 후 제출하는 것으로 계획을 조정하였다.

🔍 본론

2. 해결 방안 가설 설정 

 

📌 핵심 문제 정의: "야간 사용성 저하로 인한 리텐션 악화" 

 

해결 방안 가설 설정

 

가설: 🌓 다크모드 구현을 통한 야간 사용성 개선

구체적 실행 방안:

1️⃣ 
다크모드 기본 제공

📱 Android/iOS 표준 API 활용해 시스템 다크모드와 연동

디자인 가이드라인:
🎨  순수 검정 대신 어두운 회색 배경 적용
👀  텍스트는 연한 회색으로 가독성 확보
🟣  버튼, 아이콘 등 핵심 요소는 강조색 유지

2. 수동 전환 옵션 추가:
⚙️  설정 메뉴에 "다크모드 ON/OFF" 토글 버튼 배치
💾  사용자 선택값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해 재방문 시 자동 적용

3. 자동 조명 감지 기능:
📡 센서 기반으로 주변 밝기 감지 후 테마 자동 전환 (선택적 기능)

 

개발자 관점의 기술적 고려사항

1️⃣ 플랫폼별 구현 방식 차이 고려

Android: UiModeManager 또는 AppCompatDelegate.setDefaultNightMode() API 활용
iOS: UITraitCollection 활용하여 시스템 설정에 따라 UI 자동 반영

📍 특히 하위 버전 호환성 고려 → Android 10 이전 버전 사용자는 수동 다크모드 토글 지원 필수

2️⃣ 테마 구조 설계 (Design System 기반)

다크/라이트 테마 공통 스타일 분리 → 재사용성 높은 theme.js 혹은 ThemeProvider 기반 구조 설계
SCSS 기준으로는 _variables.scss를 기준으로 컬러, 폰트 컬러, 배경 컬러 등을 동적 변수로 분리
React 기반일 경우: styled-components 또는 emotion 사용하여 테마 전환 처리

3️⃣ 성능 최적화 고려

테마 변경 시 전체 렌더링 최소화
→ 컨텍스트(Context API 등)로 상태 관리하여 필요한 컴포넌트만 리렌더링
앱 용량 최소화
→ 테마 리소스 (이미지, 아이콘) 경량화 및 공통화 적용

4️⃣ QA 및 테스트 방안 제안

야간 시간대 시나리오 QA 케이스 작성
밝기 감지 자동 전환의 임계값 설정 테스트
유저 피드백 수집 후 A/B 테스트 통한 정량 비교

 

예상 기대 효과

📊 정량적 효과:

📈 야간 시간대 사용자 리텐션 20~30% 증가 
⏱️ 전체 앱 사용 시간 25~30% 증가 
🚀 전체 리텐션율 1~2%p 상승 (예: 4% → 5~6%) 
📉 불만 리뷰(밝기, 눈부심 관련) 20% 이상 감소 

🌟 정성적 효과:

👍 눈의 피로 감소로 사용 만족도 및 서비스 신뢰도 향상
🔥 다양한 환경(야간, 실내, 저조도)에서의 접근성 개선
🏆 브랜드 이미지 및 사용자 경험(UX) 강화
💬 긍정 리뷰 및 추천 증가

 

요약

만약 앱에 다크모드를 도입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테마를 전환할 수 있도록 UI/UX를 개선한다면, 야간 사용성 개선을 통해 리텐션, 사용 시간, 사용자 만족도 등 주요 지표가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 

3. 마치며
이번 과제를 통해 기획자로서의 사고 방식과 개발자 경험이 어떻게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를  체감할 수 있었다. 사용자 리뷰라는 정성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기술적으로 풀어내는 과정은 단순한 아이디어 제안이 아닌, 실현 가능한 기획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첫 과제를 진행하며 아직 많이 부족하고 미숙하다는 점도 느꼈다. 하지만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를 구조적으로 사고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설계하는 역량을 더욱 키워가고자 한다. 이후에 노션을 활용해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부족한 부분은 하나씩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