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스터디 - "헬스케어"
목차
1. 들어가며
2. 도메인 선정
3. 대표 프로덕트 선정
4. 사용자 흐름과 문제정의
5. 가설수립
6. 마치며
📝 서론
1. 들어가며
새로운 조편성을 마치고 오늘부터 직무 스터디를 시작합니다. 📖
직무 스터디란? 팀 회의를 통해 '도메인'을 선택하고, 해당 도메인을 기반으로 팀별로 리서치 및 토론을 진행하는 활동입니다.
5일간 주제별로 조사 및 토론 → 발표 자료 제작의 과정을 거쳐, "4월 11일"에 최종 발표회를 진행합니다. 🎤
🔍 본론
2. 도메인 선정
우리 조는 각자의 관심 분야를 공유한 후 의견을 통합해 헬스케어를 도메인으로 선정했습니다. 🩺
그중에서도 모바일 헬스케어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모바일 헬스케어 프로덕트 카테고리
(App Store 등재 어플리케이션 기준, 괄호 안은 이용자 수)
의료 분야
- 비대면 진료 / 진료 서비스
닥터나우(24K) / 굿닥(10K) / 나만의닥터(4.4K) - 진료 예약
똑닥(16K) / 굿닥(10K) - 여성 건강 (월경, 임신)
핑크다이어리(190K) / 봄 캘린더(81K) / Flo(53K) / Cycles(12K) / 마미톡(17K) / 베이비빌리(13K) / 280days(10K)
피트니스 분야
- 운동 보조
Nike Run Club(48K) / Nike Training Club(40K) / 플랜핏(19K) / 플릭(10K) / 번핏(6.5K) / Pacer(32K) - 식단 관리
인아웃(44K) / 밀리그램(29K) / 필라이즈(3.8K) / 제때(3.4K) / SmartDiet(24K) / 간단(20K) / YAZIO(32K) / 눔(5.7K) - 수면 관리
Sleep Tracker(1.9K) / Nightly(3.6K) / AutoSleep 트래커(6.4K) / Pillow(4K) / 스노어랩(7K) / BetterSleep(16K)
3. 대표 프로덕트 선정
대표 프로덕트는 비대면 진료 서비스 중 트래픽이 가장 높은 ‘닥터나우’로 선정했습니다.
🚑 닥터나우(DoctorNow)
개요
- 닥터나우는 대한민국 1위 비대면 진료 플랫폼으로, 환자와 의료진을 연결하여 원격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 비대면 진료: 모바일 앱을 통해 증상이나 진료 과목을 선택하여 원하는 의사와 전화 또는 화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처방전 발급 및 약 수령: 진료 후 전자 처방전을 발급받아 약국에서 직접 약을 수령하거나, 일부 지역에서는 약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의료 상담: 건강 관련 궁금증이나 증상에 대해 실시간으로 의료진과 상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병원 및 약국 찾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하여 방문 예약을 도와줍니다.
특징
- 접근성: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적합합니다.
- 편의성: 앱 하나로 진료 예약부터 상담, 처방전 발급, 약 수령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비대면 진료 외에도 맞춤형 영양제 구독, 건강 매거진 등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건강 관리를 지원합니다.
출처:
"비대면 진료 어떻게 이용하는 걸까?" 비대면 진료 어플 이용 방법 A to Z
비대면 진료 이용 방법 궁금했다면, 읽어보세요. 비대면 진료 어플을 손쉽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doctornow.co.kr
4. 사용자 흐름과 문제정의
사용자 흐름
💎 서비스 플로우(’닥터나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1️⃣ 증상 혹은 과목 입력 : 많이 찾는 증상 및 과목 선택 가능
2️⃣ 진료의사 선택 : 정렬조건 변경가능
3️⃣ 진료시간 예약 : 최대 2일(당일 기준), 20분 단위 설정
4️⃣ 진료신청서 작성 : 진료방식(음성/영상), 증상/과목(텍스트 입력-최근 입력한 증상 자동입력 가능)
5️⃣ 진료비 결제 수단 선택
6️⃣ 병원 측 확인 후 예약 최종확정
7️⃣ 진료 후 결제
8️⃣ 처방전 발급 후 약국 선택
9️⃣ 약국 내 조제성분 재고 확인(전화)
🔟 처방전 약국 전송 후 약국 픽업 or 배송
🚨 문제 정의
- 사용자 입장에서 진료는 간편하지만, 이후 단계(약 수령)는 단절되어 있음
📌 상세 문제 분석
1. 배송 서비스 지역 편차
- 서울·수도권은 약 배송이 빠르지만, 지방은 서비스 대상이 아니거나 배송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약을 받지 못하거나, 직접 약국에 방문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
2. 배송 현황 실시간 정보 부족
- 배송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여
사용자는 약이 언제 오는지, 어디쯤 있는지 알 수 없음 → 이로 인해 불안감 유발.
3. 약 배송 서비스 이용 시 제한 조건 존재
- 일부 제휴 약국만 배송이 가능하며,
약사 상담 필수, 진료 시간과 배송 가능 시간 불일치, 약국 운영시간에 따라 배송 불가 등 사용자가 쉽게 놓치기 쉬운 제약 조건들이 존재함.
📰 실제 사용자 불편 사례 및 출처
비대면 진료 후 약 수령의 어려움에 대한 사용자 불만 사례
- 기사 제목: "직접 체험해본 '닥터NOW' 편리함 뒤에 가려진 허술함"
- 출처: 의약뉴스 (2020.12.01)
직접 체험해본 ‘닥터NOW’ 편리함 뒤에 가려진 허술함 - 의약뉴스
약사사회의 반대로 지난 9월 영업을 종료했던 ‘배달약국’이 2개월 만에 ‘닥터NOW’로 이름을 바꿔 조제약 배달 서비스를 재개했다.닥터NOW는 ‘전화상담ㆍ처방 및 대리처방 한시적 허용방안(
www.newsmp.com
비대면 진료 플랫폼 이용 시 약 수령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
- 기사 제목: "'닥터나우' 비대면진료 처방약, 약사들이 거세게 반발하는 까닭"
- 출처: 비즈한국 (2023.11.14)
'닥터나우' 비대면진료 처방약, 약사들이 거세게 반발하는 까닭
진료 대상 늘리면서 재택수령 제한은 그대로…약사계 "의약품 오남용·플랫폼 종속 등 우려"
www.bizhankook.com
5. 가설수립
📄 가설
“비대면 진료 이후 약 수령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처리할 수 있다면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 현재 사용자들은 진료는 앱에서 진행하지만, 약 수령은 외부 약국 방문 혹은 별도 앱/전화 등을 통해 진행해야 함
- 특히 휴일이나 야간에는 수령까지 평균 10시간 이상이 소요되며, 약국 이동 거리도 평균 4.77km로 사용자 불편을 유발함
- 진료 → 처방전 → 약국 선택 → 수령(배송/방문)까지를 일관된 UX로 연결하면 사용자 이탈을 줄이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
“약 배송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면 사용자 신뢰도와 만족도가 향상될 것이다.”
- 약 배송은 사용자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배송 지연이나 누락에 대해 민감함
- 일반 택배처럼 예상 수령 시간, 실시간 위치 추적, 지연 알림 등을 제공하면 사용자 불안감이 줄어듦
- 배송 경험의 투명성과 신뢰도가 올라가면 서비스 전반에 대한 호감도와 재이용률이 높아질 수 있음
🎯 결론
6. 마치며
이번 직무 스터디를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특히 ‘비대면 진료’라는 분야가 사용자 편의성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직접적인 사용자 흐름 분석과 문제 정의를 통해, 단순히 편리한 진료 제공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발표 준비 과정에서도 사용자 중심의 사고를 유지하며, 문제 해결 관점에서 어떤 인사이트를 줄 수 있을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
'PM > 직무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10일차 직무 스터디(완) - "헬스케어" (3) | 2025.04.11 |
---|---|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9일차 직무 스터디(4) - "헬스케어" (0) | 2025.04.10 |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8일차 직무 스터디(3) - "헬스케어" (0) | 2025.04.09 |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7일차 직무 스터디(2) - "헬스케어" (1)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