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직무 스터디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7일차 직무 스터디(2) - "헬스케어"

alstj0506 2025. 4. 8. 11:31

직무스터디 - "헬스케어"

 

목차 
1. 들어가며
2. 헬스케어 도메인에서 PM의 역할
3. "닥터나우" PM의 구체적 역할
4. 이해관계자 지도
5. 마치며 

 

📝 서론

1. 들어가며
전날 ‘닥터나우’를 메인 프로덕트로 선정하고, PM과 협업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팀원들과 함께 분석한다. 이후 피그마(FigJam)를 활용하여 이해관계자 지도를 시각화해볼 예정이다. 더불어, 헬스케어 도메인에서 PM의 역할을 실제 채용 공고를 통해 분석하고, 닥터나우에서 PM이 수행하는 구체적인 역할과 요구 역량을 정리해본다. 📖

🔍 본론

2. 헬스케어 도메인에서 PM의 역할

 

📌 주요 채용 공고

 

 

[한국메디컬헬스케어] 프로젝트 매니저 (서비스 기획, PM) 채용 공고 | 원티드

한국메디컬헬스케어의 프로젝트 매니저 (서비스 기획, PM) 포지션을 확인해 보세요. 취업·이직에 성공하면, 합격보상금 50만원을 드립니다.

www.wanted.co.kr

 

 

약손명가 헬스케어 채용 - [약손명가 관계사] `Product Owner(PO)`를 모집합니다. | 잡코리아

경력 : 경력3년이상, 학력 : 학력무관, 급여 : 3,000~7,000만원, 마감일 : 상시모집

www.jobkorea.co.kr

 

 

[힐링사운드] 헬스케어 제품 서비스 기획/PM(프로덕트 매니져) 채용 공고 | 원티드

힐링사운드의 헬스케어 제품 서비스 기획/PM(프로덕트 매니져) 포지션을 확인해 보세요. 취업·이직에 성공하면, 합격보상금 50만원을 드립니다.

www.wanted.co.kr

 

 

[(주)지씨케어] 헬스케어 서비스기획(PM) 인턴 모집 (D-25) - 사람인

(주)지씨케어, 헬스케어 서비스기획(PM) 인턴 모집, 경력:신입, 학력:대학교졸업(4년)이상, 연봉:3,200 만원, 마감일:2025-05-03, 홈페이지:www.gccare.net/

m.saramin.co.kr

 

 

(주)브레디스헬스케어 - [Platform]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기획자/PO/PM | 리멤버 프리미엄 채용공

주요 업무 (이런 업무를 수행합니다) 아래 업무는 가능한 업무 예시로 지원자의 전공분야와 회사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직무적용이 가능합니다. • 인지재활치료 어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헬

career.rememberapp.co.kr

 

✔️ 공통된 PM의 역할

 

1. 헬스케어 서비스 기획 및 운영

  •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또는 앱의 전반적인 기획 담당
  • 기능 정의 및 서비스 로드맵 수립
  • 신규 서비스/기능 런칭 및 운영 관리

2. 개발팀과의 협업

  • 백엔드/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협업해 요구사항 명세 작성
  • 기능 구현 및 QA, 릴리즈 관리

3. 시장 및 사용자 분석

  • 경쟁 서비스 벤치마킹
  • 헬스케어 관련 트렌드 조사
  • 사용자 요구사항(User Needs) 도출 및 데이터 기반 개선안 제안

4. 의료/헬스케어 규제 고려

  • 의료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규제 이해 및 반영
  • 의료기관, 약국 등 외부 이해관계자 협업 시 규정 준수 고려

5.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 유저, 의료기관, 제휴사, 내부 개발/디자인팀 등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 일정, 기능, 우선순위 조율

✔️ 요구 역량

 

1. 기획 및 서비스 설계 능력

  • UX/U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사용자 흐름과 기능 정의 경험

2.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 능력

  • 유저 행동 분석, 시장 데이터 기반 기획
  • 헬스케어 특성상 정량/정성적 데이터 병행 분석 필요

3. 헬스케어 도메인 이해

  • 디지털 헬스케어 트렌드에 대한 관심
  • 의료 시스템, 건강관리 생태계에 대한 지식

4. 커뮤니케이션 및 조율 능력

  • 복잡한 이해관계자 간 갈등 조정
  • 외부 파트너 (의료진, 병원, 약국 등)와 협업 경험 우대

5. 기술과 협업에 대한 이해

  • 개발 프로세스 이해 (애자일, 워터폴 등)
  • Jira, Notion, Figma 등 협업 툴 경험

3. "닥터나우" PM의 구체적 역할

 

🎯 주요 업무

영역 구체적 내용
서비스 기획 - 비대면 진료 예약 플로우 UX 설계 (증상입력, 병원 선택, 예약/진료)
- 약 배송 주소 자동입력, 재처방 기능 기획
- 유저 관점의 FAQ/고객센터/알림 기능 설계
의료 전문가 협업 - 의사와 진료 프로세스 조율
- 약사와 배송 용이성 및 의약품 취급 정책 협의
정책 및 규정 수립 - 비대면 진료 중복 방지 정책 기획
- 만성질환자 재진료 기준 수립
- 진료 불가 증상 정의 (예: 응급질환)
개발팀 협업 - 진료/결제/배송 API 상세 기획
- 실시간 영상통화 안정성 개선 요청
- 백엔드/프론트 스펙 문서화 및 일정 조율
운영 자동화 설계 - 진료 예약 리마인드 알림
- 진료 결과 자동 저장 및 의약품 이력 연동
- 약 배송 지연 시 자동 메시지 발송 로직
데이터 기반 개선 - 약 배달 평균 소요 시간
- 의사 재매칭률, 진료 이탈률 분석
- 유저 피드백 수집 및 기능 개선 제안

 

주요 협업 대상:

  • 의사, 약사 (내부/외부 협력)
  • 개발팀 (진료/배송 API)
  • CX팀, 고객센터
  • 데이터팀, QA팀
  • 법무팀 (의료법/약사법 준수)
  • 병원/약국 파트너
  • 마케팅팀 (신규 기능 홍보 전략)

4. 이해관계자 지도

 

이해관계자 지도는 다양한 관계자들의 역할과 영향력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도구다. 팀원 간 역할은 다음과 같이 배분했다:

배한솔: FigJam 도구 활용
김민서: 이해관계자 지도 레퍼런스 리서치
유준영, 강민재: 내용 정리 및 분석

 

📌 참고 레퍼런스

 

 

이해관계자맵 (Stakeholders map) - 서비스디자인 방법

'이해관계자맵은 다양한 서비스 이해관계자 간의 관계를 식별하고 시각화하여 서비스 컨텍스트를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다. 이해관계자맵은 상충되는 역할을 분석하고 상

servicedesign.tistory.com

 

 

이해관계자(Stakeholder)?

앞선 포스팅에서 내가 자주 언급한 단어 중 하나에 ‘이해관계자(Stakeholder)’라는게 있었다. 이해...

blog.naver.com

 

 

이해관계자 지도 Stakeholder Maps

[탐구 도구] 이해관계자 지도 Stakeholder Maps 이해관계자 지도란? 직원과 고객, 파트너 조직, 그 외의 이해관계자들을 보여주고 다양한 그룹 간의 관계를 도식화해 분석하는 지도다. 이 지도의 목적

deep-wide-studio.tistory.com

 

📌 이해관계자 지도 

 

프론트 개발자 - UI/UX 설계 및 구현
백앤드 개발자 -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어플 개발자 - iOS, Android 플랫폼에 맞춰 어플 구현
QA 엔지니어 - 제품의 품질 테스트 및 수정
UX/UI 디자이너 - 사용자 경험를 바탕으로 한 기획의도를 반영하여 UXUI 디자인
UI 리서처 - 사용자 경험 수집, 개선 인사이트 제공
UX 라이터 - 제품의 아이텐티티가 담긴 서체로 텍스트 작성
마케터 - 제품의 시장 진입 전략, 마케팅 전략 담당
데이터 분석가 - 프로덕트 관련 데이터를 수집, 처리, 분석하여 인사이트 도출
세일즈 - 제품을 고객에게 직접 판매, 직접소통을 통한 고객 니즈 쩐달
CX 매니저 - VOC 데이터를 기반을 고객 경험 총괄 관리 및 개선
서비스 운영자 - 프로덕트의 운영성 업무(검색/메인 화면/댓글)
법률 전문가 - 프로젝트의 법적 리스크 및 법률적 자문
개인정보보호 전문가 - 사용자의 데이터 보호 정책 수립, 개인정보 위험 평가, 데이터 유출 대응
통번역가 - 해외 서비스 진출/외국인과의 협업 시 통번역 업무세일즈는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특성상 제외해도 될 것 같고통번역가는 고객센터 문의결과 아직 해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국내 비대면 진료 서비스의 해외 제공이 법적으로 불가하기 때문에 제외하는게 좋을것같습니다

 

 


🎯 결론

5. 마치며
이번 스터디를 통해 헬스케어 도메인에서 PM이 수행하는 역할과 요구되는 역량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닥터나우’를 중심으로 실제 서비스 내에서 PM이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이해관계자와 협업하며, 기획부터 운영, 개선까지 전반을 아우르는지를 살펴본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이해관계자 지도를 그려보며, 한 명의 PM이 감당해야 할 소통과 협업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지 체감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