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 및 경쟁사 분석 방법부터 광고 리서치까지
1. 들어가며
2. 시장조사 및 경쟁사 분석 방법
3. 광고 상품 리서치 방법
4. 마치며
📝 서론
1. 들어가며
제품이나 서비스를 기획할 때, 단순히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왜 이 서비스를 만들어야 하는지,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그리고 경쟁 시장은 어떤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수다. 이번 학습에서는 시장 조사와 경쟁사 분석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수익 모델로 이어지는 광고 상품 분석까지 어떤 시야를 가져야 하는지 배운다. 📖
🔍 본론
2.시장조사 및 경쟁사 분석 방법
데스크 리서치: 기획의 출발점
단순한 자료 조사가 아닌, 사용자·프로덕트·회사·시장의 방향성을 시각화하는 작업이다.
온라인에 흩어진 정보를 엮어 기획의 재료로 활용해보자!
📘 조사 항목과 정보 출처
항목 | 조사 내용 | 정보 출처 |
회사 비전 | 회사가 지향하는 큰 방향성 | 채용 사이트, 대표 인터뷰 |
대표자 약력 & 창업 스토리 | 프로젝트의 철학과 가치관 파악 | 기사, LinkedIn |
재무 흐름 & IR 자료 | 자금 사정, 수익화 압박 여부, 핵심 매출원 | The VC, 회사 IR, 중소기업현황 시스템 |
신사업 & 투자 방향 | 현재 집중하고 있는 영역 | 공식 사이트, 채용 공고, 기사 |
채용 직무 | 회사가 중요하게 여기는 영역 | 채용 사이트 |
프로덕트 출시 후기 | 제작자의 고민, 실제 시행착오 | 기술/디자인 컨퍼런스, 기술 블로그, LinkedIn |
파트너 대상 비즈니스 구조 |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 흐름 | 파트너사 사이트, 인터뷰 |
실사용자 후기 (VOC) | 고객 반응, 불편 요소, 니즈 | 앱스토어 리뷰, 커뮤니티 |
프로덕트 실제 사용 | UI/UX 전략 반영 확인 | 앱, 웹 실제 사용 |
서비스 개편 히스토리 | 어떤 과제를 해결해왔는가 | 공지사항, 오픈/종료 서비스 목록 |
시장/경쟁사 분석 | 정량 데이터 기반 트렌드 분석 | 오픈서베이, 와이즈앱, 기사 (비판적 시각 필요) |
3. 광고 상품 리서치 방법
광고 상품 리서치: 수익 모델을 이해하자
광고는 많은 IT 플랫폼의 핵심 수익원으로 작용한다.
광고 상품 구조를 이해하면 마케팅/세일즈 팀과 원활한 협업도 가능하다.
📘 광고 상품 소개서에서 봐야 할 포인트
항목 | 핵심 질문 |
광고 상품 개요 | 광고주는 왜 이 광고를 선택해야 하는가? |
광고 유형 및 노출 방식 | 사용자 특성에 맞는 포맷은 무엇인가? |
과금 모델 (예: CPC, CPM) | 광고비는 어떻게 지불되는가? |
성과 지표 (ROI, CTR 등) | 광고 효과는 어떻게 측정되는가? |
UX/UI 관점 | 광고가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는 방식은? |
💼 광고 상품 소개서, 왜 볼까?
우리 서비스에 광고 모델을 도입할 때 유용
▪️광고는 IT 서비스, 특히 B2C 플랫폼이나 콘텐츠 기반 서비스의 주요 수익원이다.
▪️광고 리서치를 통해 “어떤 광고 상품이 매출에 기여할 수 있을지”, “UX를 해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광고를 삽입하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
👨🏻💻 실전 예시
▪️“가장 매출을 높일 수 있는 광고 상품이 무엇이 있을까?”
▪️“우리 제품에서 광고를 추가해도 UX를 해치지 않는 방법은 무엇일까?”
광고 세일즈/운영/마케팅팀과 협업 원활 → 커뮤니케이션 역량 상승
▪️CTR, CVR, ROAS, 리타겟팅 등 광고 관련 용어와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협업이 수월하다.
▪️특히 광고 집행 전략을 논의하거나, 기획자의 입장에서 효과적인 소재 방향이나 타겟팅을 함께 고민할 수 있다.
👨🏻💻 실전 예시
▪️“제품 출시 후 효과적인 광고 집행을 위해 협업”
▪️“광고팀과 협력해 효율적인 광고 집행 방향 논의”
🔎 광고 상품 소개서, 어디서 볼까?
광고 상품 구조를 파악하려면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제 광고 가이드를 참고해보는 것이 좋다.
더보기
- 아이보스 https://www.i-boss.co.kr/ab-7654
- 오픈애즈 https://www.openads.co.kr/item
- 해당 회사의 파트너 홈페이지
- 카카오 비즈니스 https://business.kakao.com/
- 카카오 비즈니스 가이드 https://kakaobusiness.gitbook.io/main
- 네이버 비즈니스 https://business.naver.com/service.html
- 네이버 비즈니스 스쿨 https://bizschool.naver.com/
- 당근 비즈니스 https://business.daangn.com/
- 배민외식업광장 https://ceo.baemin.com/
- 쿠팡 마켓플레이스 https://marketplace.coupangcorp.com/s/
- 쿠팡이츠 사장님 포털 https://store.coupangeats.com/
- 요기요 사장님 포털 https://partner.yogiyo.co.kr/
- 토스 비즈니스 https://business.toss.im/
📌 광고 상품에서 중점적으로 봐야 할 항목들
1️⃣ 광고 상품 개요
▪️광고주는 이 광고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주요 타겟(대기업, 스타트업, 1인 사업자 등), 목적(브랜드 인지도, 전환율 향상 등)
2️⃣ 광고 유형 및 노출 방식
광고 유형 설명 예시 디스플레이 광고 웹/앱의 배너 광고 네이버GFA, 구글 GDN 검색 광고 키워드 검색 결과 노출 네이버, 구글 검색 광고 네이티드 광고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짐 뉴스 기사 내 배너 동영상 광고 영상 콘텐츠 내 삽입 유튜브, 틱톡 리타겟팅 광고 재방문 유도 페이스북 리타겟팅
3️⃣ 과금 모델
과금 방식 설명 주요 지표 CPM 1,000회 노출당 과금 노출수(Impressions) CPC 클릭 1회당 과금 클릭률(CTR) CPA 전환 1회당 과금 전환율(CVR), ROAS CPV 동영상 조회당 과금 시청 유지율
4️⃣ 광고 성과 지표
CTR(클릭률), CVR(전환율), ROAS(광고 수익률), Engagement Rate 등
5️⃣ UX/UI 관점
광고가 사용자 경험을 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스며드는가?
네이티브 광고 등 비침습적 방식 고려
💼 왜 광고 리서치를 해야 할까?
수익모델 탐색: 우리 서비스에 어떤 광고 모델이 도입 가능한지 탐색
팀 협업: 세일즈/마케팅/광고 운영팀과의 커뮤니케이션 기반 강화
실행 전략: 향후 광고 집행까지 고려한 실질적인 기획안 도출 가능
💬 마무리 Tip
좋은 기획자는 '정보를 잘 모으는 사람'이 아니라, '정보를 잘 해석하는 사람'이다.
단편적인 정보도 맥락 속에 연결되면, 훌륭한 기획의 기반이 된다.
조사 단계에서 끝내지 말고, 통합된 인사이트로 이어지게 만들자!
🎯 결론
3. 마치며
시장 조사와 경쟁사 분석, 그리고 광고 상품 리서치는 단순한 ‘정보 수집’을 넘어서, 서비스의 방향성과 수익 모델까지 고민하는 기획자의 필수 역량이다. 특히 조사 단계에서 얻은 수많은 정보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연결하느냐에 따라, 기획의 깊이와 실행력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이 서비스가 왜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고,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을지 비즈니스적으로 어떻게 지속가능할 수 있을지를 입체적으로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
'PM > 서비스 기획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16일차 - 내가 멜론(Melon) PM이라면? (2) (1) | 2025.04.21 |
---|---|
[내일배움캠프TIL] 본캠프16일차 - 서비스 기획 입문 과제 - 리뷰 분석을 통한 문제 현상 도출 (1) | 2025.04.21 |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14일차 - 내가 멜론(Melon) PM 이라면? (0) | 2025.04.17 |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12일차 서비스 기획 입문 - PM업무에 GPT활용하기 (0) | 2025.04.15 |
[내일배움캠프 TIL] 본캠프 12일차 서비스 기획 입문 - 문제 정의 및 해결(완) (0) | 2025.04.15 |